교육/[패스트캠퍼스]Kubernetes 자격증 마스터 클래스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3일차 : Kubernetes 자격증 마스터 클래스 : CKA/CKAD/CKS 강의 후기

esne 2025. 3. 7. 22:23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https://bit.ly/4hTSJNB)


공부 인증

시작 시각, 종료 시각, 강의장 목록


공부 후기

 

주요한 부분만 대략적으로 정리!

 

#1 쿠버네티스 아키텍처

2) kubelet daemon 안에는 cAdvisor이라는 프로그램이 들어 있다.

4) master 노드에 있는 API 서버들은 이 정보를 받아서 etcd(전체 클러스터 운영에 대한 모든 정보를 담고 있는 저장소)에 저장한다.

 

#2 kubelet

kubelet daemon을 start하면 k8s service는 동작한다.

API Server는 명령을 실행한 유저의 home directory에 있는 인증서를 기반으로 kubectl 명령을 허가받은 유저가 실행했는지 확인한다. 

etcd에서 정보를 먼저 꺼내와서 scheduler로 보내고, scheduler는 정보를 받아서 지금 실행하려고 하는 pod를 어디에 배치하면 좋을지 결정한다. 어떤 worker node에 배치할까?

 

#3 controller

API Server는 controller에게 요청을 하고, 그 요청에 대해 항상 container(application)의 개수를 보장해준다.

 

#4 CNI

그들에 대한 단일진입점(cluster ip - worker node ip의 집합)를 만들어주고, end point(pod ip address)를 기록한다.

cluster ip 중 하나를 선택해서 서비스하게 된다.(load balance되게 한다.)

 

#5 CoreDNS

Service의 이름과 클러스터 ip 정보에 대한 naming service를 지원하는데 이것을 CoreDNS라고 부른다.

 

쿠버네티스 구조에 대해 오늘 알아봤다. 아직 생소한 용어들이 너무 많다. 강의 듣기 전까진 아는게 실질적으론 거의 없었으니,,ㅎ

cAdvisor, CoreDNS 등 이러한 것들은 이번 강의로 처음 접하였다. 열심히 공부해서 이번 연도 안에 CKA 자격증 따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