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https://bit.ly/4hTSJNB)
공부 인증




공부 후기
이번 시간에는 ETCD, ETCD backup, ETCD Restore 용어에 대해 배웠다.
ETCD는 분산 key:value 형태의 데이터 스토리지이다. etcd 데이터베이스 파일에 보관되며 static pod 형태로 운영된다고 한다. static pod는 특정 경로에 존재하는 yaml 파일에 대해 kublet이 자동으로 파드로 생성되는 것을 말한다. kube-APIServer에 의하지 않고 kubelet이 파드를 생성 및 관리하는 것이 특징이다. etc/kubernetes/manifests 라는 디렉토리 내 etcd.yaml 파일에서 etcd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static pod가 무엇인지에 대하여 조금 더 알아봤다. 동작 방식은 다음과 같다.
1) 생성 : 정적 파드 경로에 yaml 파일이 존재할 경우 자동으로 파드 생성
2) 유지 : 정적 파드 경로에 yaml 파일이 존재할 경우 파드가 삭제되어도 재생성
3) 수정 : 정적 파드 경로의 yaml 파일을 수정하면 자동으로 기존 파드가 삭제되고 새로운 파드가 생성
4) 삭제 : 정적 파드 경로의 yaml 파일을 삭제하고, 파드를 delete해야 완전 삭제
저장소이니 만큼 중요한 파일이어서 고가용성 클러스터를 구성하여 운영된다고 한다. session clustering, failover 기능과 비슷한 것 같다. 이것과 연관된 용어로 etcd backup과 etcd restore가 있다. etcd backup은 master의 장애와 같은 예기치 못한 사고로 인해 ETCD 데이터베이스가 우실될 경우를 대비해서 TCD snapshot file로 저장하는 것을 말하고, etcd restore는 napshot으로 저장한 database 파일을 동작중인 etcd에 적용하여 snapshot 생성 시점으로 되돌리는 것을 말한다.
오늘은 개념에 대해 배웠고 다음 시간에 실습이 진행된다고 한다.
'교육 > [패스트캠퍼스]Kubernetes 자격증 마스터 클래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7일차 : Kubernetes 자격증 마스터 클래스 : CKA/CKAD/CKS 강의 후기 (0) | 2025.03.11 |
---|---|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6일차 : Kubernetes 자격증 마스터 클래스 : CKA/CKAD/CKS 강의 후기 (0) | 2025.03.10 |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4일차 : Kubernetes 자격증 마스터 클래스 : CKA/CKAD/CKS 강의 후기 (2) | 2025.03.08 |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3일차 : Kubernetes 자격증 마스터 클래스 : CKA/CKAD/CKS 강의 후기 (0) | 2025.03.07 |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2일차 : Kubernetes 자격증 마스터 클래스 : CKA/CKAD/CKS 강의 후기 (0) | 2025.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