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패스트캠퍼스]Kubernetes 자격증 마스터 클래스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17일차 : Kubernetes 자격증 마스터 클래스 : CKA/CKAD/CKS 강의 후기

esne 2025. 3. 21. 22:58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https://bit.ly/4hTSJNB)


공부 인증
시작 시각, 종료 시각, 강의장 목록, 강의 화면
 

공부 후기

 

오늘 어떤 내용에 대해 공부하는지 확인도 안하고 어제 구글에서 관련 용어 뭐 있나 검색해서 공부했던게 오늘 나왔다... ㅋㅋㅋ 선행학습 느낌으로 돼서 이해도 더 잘 된 듯?

 

configmap : 컨테이너 구성 정보를 한곳에 모아서 관리

secret : 컨테이너가 사용하는 passwrod, auth token, ssh key와 같은 중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민감한 구성정보를 base64로 인코딩해서 한 곳에 모아서 관리

- 민감하다면 secret, 민감하지 않다면 configmap 사용

 

인코딩 = 암호화X = 디코딩 언제든 가능!

- 암호화된 데이터라고 인식하지 말고 평문의 데이터를 base64로 인코딩해서 바이너리 형태를 하나의 아스키코드화 시켰다고 인식해야 한다. 기존에 아스키코드데이터였다면 다른 형태의 아스키로 인코딩됐다고 생각하면 된다.

 

이러한 내용들에 대해 배웠다.

 

인코딩, 디코딩, base64, 아스키코드, 바이너리 형태에 대해 자세하게 몰라서 알아보았다.

1) 인코딩

데이터를 다른 형식으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기본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저장할 때, 시스템이 처리할 수 있는 형식으로 바꾸는 것이다. 예를 들면 텍스트 데이터를 바이너리 형식으로 변환하거나, 문자열을 다른 표기법으로 바꾸는 것이 인코딩에 속한다.

2) 디코딩

인코딩된 데이터를 원래의 형식으로 되돌리는 과정이다. 즉, 인코딩된 데이터를 다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것이다.

3) base64

데이터를 텍스트 형식으로 인코딩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주로 바이너리 데이터를 텍스트로 안전하게 전송하거나 저장할 때 사용된다.

4) 바이너리 형태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표현하는 가장 기본적인 형식이다. 모든 데이터는 결국 **0과 1로 이루어진 이진수 (Binary)로 저장되거나 처리된다. 컴퓨터는 이진수 시스템을 사용해 데이터를 처리하고 저장한다.

5) 아스키코드

컴퓨터에서 텍스트를 표현하기 위한 표준 문자 인코딩 방식이다. 기본적으로 영어 알파벳, 숫자, 특수문자들을 각각 고유한 숫자 값으로 매핑해서 저장하는 방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