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패스트캠퍼스]Kubernetes 자격증 마스터 클래스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18일차 : Kubernetes 자격증 마스터 클래스 : CKA/CKAD/CKS 강의 후기

esne 2025. 3. 22. 23:41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https://bit.ly/4hTSJNB)


공부 인증

시작 시각, 종료 시각, 강의장 목록, 강의 화면

 


공부 후기

 

강의 내용에 추가적으로 찾아본 것을 정리하였다.

 

Pod Network : 파드 간 통신을 지원하는 클러스터 전반에 걸친 네트워크. 모든 파드가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전역 IP 주소를 할당하고, 이를 통해 각 파드는 서로 다른 노드에서 실행되더라도 동일한 네트워크 상에서 원활하게 연결 가능.

Service Network : 컨테이너가 네트워크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이를 통해 각 파드가 네트워크 상에서 고유한 IP를 가지게 된다.

  • Service : 동일한 목적을 수행하는 여러 파드를 묶어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객체.

Virtual IP = Cluster IP : 서비스에 대해 요청이 들어오면 이 Cluster IP로 요청을 전달하고, 해당 서비스에 연결된 파드들 중 하나로 요청을 로드밸런싱하여 전달한다.

 

Kubernetes Network Proxy : iptables 규칙을 설정하고 외부 네트워크와 파드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Kubernetes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관리하고, 서비스와 외부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처리하는 "kubeproxy"라는 컴포넌트를 사용한다. kubeproxy는 iptables 규칙을 사용하여 클러스터 내외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필터링하고, 서비스를 외부와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쿠버네티스야 ~이름을 가진 서비스들을 Cluster IP로 묶어서 관리해줘!

etcd에 클러스터 IP가 할당되고
서비스의 엔드포인트를 통해 로드밸런싱을 지원한다.
API 서버는 클러스터 내의 서비스와 엔드포인트 정보를 확인한 후, 이를 worker node의 kubelet에 전달한다.
kubelet은 직접적으로 root 권한을 갖고 있지 않지만, kubeproxy는 해당 권한을 가지고 있어 리눅스 커널에게 iptable 규칙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청을 기반으로 kubeproxy는 iptable 규칙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서비스가 로드밸런싱을 지원할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