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https://bit.ly/4hTSJNB)
공부 인증




공부 후기
오늘은 4가지의 Service type 중 Cluster IP에 대해서 배웠다.
- selector의 label이 동일한 Pod들을 그룹으로 묶어 단일 진입점(Virtual IP)을 생성
- 클러스터 내부에서만 사용 가능, Service type 생략 시 default로 설정
- CIDR 10.96.0.0/12 범위에서 할당된다.
4가지에는 뭐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ClusterIP
ClusterIP는 Kubernetes 클러스터 내에서만 접근 가능한 가상 IP를 할당하여, 여러 Pod들로 트래픽을 라우팅한다.
이 서비스는 내부적인 클러스터 통신에 사용된다. 기본적으로 Service type을 명시하지 않으면 ClusterIP가 설정된다.
- 예시 : selector를 통해 지정된 레이블이 동일한 Pod들로 트래픽을 라우팅하며, CIDR 범위인 10.96.0.0/12에서 할당된 IP를 사용한다.
NodePort
NodePort는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Kubernetes 노드의 특정 포트를 개방하여 클러스터 외부와의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ClusterIP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클러스터 외부에서 특정 포트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클러스터 외부의 요청이 NodePort가 열려있는 노드의 특정 포트로 전달되고, 이를 통해 해당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다.
LoadBalancer
LoadBalancer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사용되는 서비스 유형으로, 클라우드 제공자가 제공하는 로드 밸런서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외부에서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LoadBalancer는 NodePort를 내부적으로 사용하고 클라우드 환경에서 자동으로 로드 밸런서를 할당받아서 클러스터 외부에서의 접근을 처리할 수 있다.
ExternalName
ExternalName 서비스는 DNS 이름을 사용하여 외부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제공한다.
Kubernetes 클러스터 내에서 DNS 이름을 사용해 외부 서비스를 참조할 수 있게 하며 특정 외부 서비스로 트래픽을 라우팅하는 역할을 한다.
- 예시 : 외부의 MySQL 서버에 대한 접근을 Kubernetes 내부에서 mysql.example.com이라는 DNS 이름으로 참조할 수 있다.
'교육 > [패스트캠퍼스]Kubernetes 자격증 마스터 클래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18일차 : Kubernetes 자격증 마스터 클래스 : CKA/CKAD/CKS 강의 후기 (0) | 2025.03.22 |
---|---|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17일차 : Kubernetes 자격증 마스터 클래스 : CKA/CKAD/CKS 강의 후기 (0) | 2025.03.21 |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16일차 : Kubernetes 자격증 마스터 클래스 : CKA/CKAD/CKS 강의 후기 (0) | 2025.03.20 |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15일차 : Kubernetes 자격증 마스터 클래스 : CKA/CKAD/CKS 강의 후기 (0) | 2025.03.19 |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14일차 : Kubernetes 자격증 마스터 클래스 : CKA/CKAD/CKS 강의 후기 (0) | 2025.03.18 |